경영경제/국내기업 이야기 5

■ 한미약품 이야기(임성기,한미사이언스,주식,주가)

이번 글은 한미약품에 대한 이야기에 관련된 글입니다. 한미약품 또는 한미사이언스의 주가와 주식도 궁금해지고 있습니다. 2016년 새해부터 제약업계를 떠들석하게 한 인물이 있다. 한미약품 창업주 임성기 회장이 그 주인공이다. 1100억원대의 주식 90만주를 임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증여한 통큰 보너스로 화제를 모았다. 어려울 때 허리띠를 졸라매며 연구개발 투자를 가능케 한 임직원들에게 마음의 빚을 갚기 위한 결정입니다. 2010년 이후에 제약환경이 안 좋아지고 매출도 안 오르고 그렇지만 연구개발(R&D) 투자는 계속해야 하고, 그래서 임직원들에게 임금 동결도 2~3번 했습니다. -이관순 대표 '한미약품' 신기술에 대해서 결과물이 나올 것을 임직원들도 기대가 있어서 (임직원들도) 회사의 어려운 사정을 이해하고,..

■ 대우그룹 이야기(샐러리맨의 신화 김우중 회장,대우건설,GM대우,대우조선해양,미래에셋대우)

이번 글은 대우그룹의 흥망사에 관련된 것에 관련됩니다. 1997년에 불어닥친 IMF 외환위기로 국민 경제는 위기를 맞았다. 900원대의 환율이 외환위기로 쓸려 들어가는 격랑 지대로 들어가면서, 1000원이 1100원으로 돌파되고 외환위기가 터지고 난 단계에서는 1800원에서 1900원으로 치솟아 올라갔죠. -정규재 기자 '대우패망비사' 공동저자 대한민국이 위기에 몰려있을 때도 세계경영에 고삐를 늦추지 않은 결과, 해외 곳곳에 가장 많은 사업장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재계서열 2위에 오른 대우그룹. 전 세계적으로 대우공포증이 나올 정도로 속전속결로 전 세계를 장악해나갔어요. 그래서 전 세계의 특히, 선진국 기업들은 (한국의) '재벌이라 불리는 기업들 정말 무서운 거 아냐?'라고들 했습니다. -최승노 '..

■ 두산그룹 이야기(맥주사업,두산베어스,두산밥캣,두산중공업 등)

이번 글은 두산그룹의 태생과 왜 맥주사업이었던 OB맥주를 포기하고, 왜 두산 그룹이 중장비사업으로 사업의 방향을 바꿨는지에 대한 글입니다. 100년이 넘는 대한민국 최장수 기업, 해방 후 한국의 맥주사업을 이끌어온 두산입니다. 하지만 창업주가 물려준 맥주사업을 버리는 결단을 하였습니다. 우리 기업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진단해보라고 했더니 맥킨지의 진단 결과가 뭐냐하면 "이런 상태로 가면 3개월 이내에 너희 회사 부도난다 방법이 없다. 돈 되는 것은 다 팔아라. 그 중에서도 가장 돈이 되는 현금창출원이 OB맥주인데, 이것까지도 다 팔아야 한다." -이한구 수원대학교 교수 '한국재벌사'저자 1991년 온국민을 경악하게한 최악의 사건. 일명 낙동강 페놀 방류사건. 영남지역의 식수원인 낙동강에 두산전자의 페놀이..

■ 위기의 한국의 보험사들, 그 원인은?

엄청난 가시밭길을 얻고 있는 업종이 있습니다. 바로 보험업계입니다. 오늘 글은 위기를 맞고 있는 한국의 보험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은행과 똑같이 현재 돈은 많이 벌고 있습니다.당기순이익을 2018년과 2019년을 비교해서 보면 내려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보험사는 이것저것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사회성 기업입니다.한국이 저출산 저성장으로 되고 있는데, 결정적으로 금리가 많이 내려갔습니다.저금리 시대로 가면 가장 충격을 받는 대표적인 업종이 보험업계입니다.금리가 내려가서 엄청난 충격을 받는데다가 경기가 안 좋아지면, 사람들이 가입을 먼저 안 하는 것이 바로 보험이기 때문입니다.경기도 타는데, 금리까지 내려가서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오죽했으면, 트리플 A를 받은 보험사 주식도 사지 말..

■ 두산중공업의 주가가 개박살 난 이유

안녕하세요. 코로나 때문에 한국경제와 더불어 세계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요즘에는 한국의 주식시장이 좋지 않고, 또한 두산건설이 상장을 폐지한다고 하였습니다. 두산중공업의 주가가 박살난 원인을 알아보는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03월 11일 두산중공업이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일부 휴업을 검토하였었다고 합니다. 두산중공업이 어떤 기업이냐하면, 화력 발전과 원자력 발전에 치우쳐진 기업입니다.화력 발전과 원자력 발전이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탈원전을 하면서, 양쪽 싸대기를 맞게 됩니다.그래서 지금 굉장히 안 좋습니다.2019년까지 전부 적자가 났습니다.5년 동안 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원자력 발전에 대하여 상당히 관심이 멀어진데다가, 국제유가까지 많이 내려가니, 기존의 화력발전의 단가..

1